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국내주식] 큐로셀 기업분석: 사업 내용 및 강약점 분석
    주식/기업 분석 2025. 3. 23. 15:45
    반응형
    1편 보러가기: https://stockstudy0301.tistory.com/12 

     

    3. 큐로셀 개요

     

    큐로셀은 CD19 CAR-T 치료제를 비롯하여 혈액암, 고형암 등 다양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CRC01은 현재 국내 2상 임상시험이 완료되었고, 2024년 12월 신약 허가를 신청해놓은 상태입니다.

    큐로셀 보유 파이프라인
    큐로셀 보유 파이프라인

    CRC01의 제품명은 '림카토주'이며, 구체적인 판매 대상 환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물질명 적응증 구체적 대상 환자
    CRC01
    (anbalcabtagene autoleucel)
    DLBCL - 재발성 또는 불응성의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 고도B세포림프종 (high-grade B-cell lymphoma, HGBL)
    - 원발성종격동거대B세포림프종(primary mediastinal large B cell lymphoma, PMBCL)을 포함한 거대B세포 림프종 성인 환자 
    성인 ALL 재발성 또는 불응성의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B-ce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B-ALL) 성인 환자

     

    현재 신약 품목허가 신청이 완료된 적응증이 DLBCL이고, ALL의 경우에는 임상시험 계획 승인 및 국내 1상 임상시험을 지행하고 있어 향후 임상결과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4. 큐로셀의 경쟁우위 요소

     

    큐로셀의 강점은 기존 치료제 대비 임상적 우수성, 자체 생산시설 확보, 국내 임상속도 최우선 3가지입니다. 국내에서 임상 진행 단계가 가장 빠르다는 점은 언급했으니, 추가적으로 임상적 우수성과 자체 생산시설을 다뤄보겠습니다.

     

    가. 기존 치료제 대비 임상적 우수성

     

    이러한 CRC01은 기존 CAR-T 치료제의 문제점 중 어떤 것을 해결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분 일반 CAR-T 치료제 OVIS™ CAR-T 치료제
    공통점 암세포 표면에 과발현 되어 있는 특정 단백질을 타겟으로 정하면, 환자의 T세포에 유전자 조작을 가하여 이 타겟을 인식할 수 있는 인위적인 단백질(CAR)을 T세포 표면에 생성시켜, 이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방식의 치료제.
    유전자 조작범위 - CAR 발현 - CAR 발현
    - PD-1이라는 면역관문수용체 발현 억제
    - TIGIT이라는 면역관문수용체 발현 억제
    적용제품 킴리아, 예스카르타, 테카터스, 브레얀지,아베크마, 카빅티 CRC01(anbalcabtagene autoleucel)
    주요 차이점 - T세포가 유전자 조작으로 CAR-T세포로 변형된 후에도 CAR-T세포 표면에 PD-1, TIGIT과 같은 면역관문수용체가 발현됨.
    - CAR-T세포 표면의 면역관문수용체가 암세포의 면역관문리간드 부위와 결합하게되면 CAR-T 치료제는 암세포를 공격대상으로 인지하지 않게 됨.
    - CAR-T 치료제의 암세포 제거기능 상실.
    - CAR-T세포 표면에 CAR는 발현하게 하면서도 PD-1, TIGIT과 같은 면역관문수용체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도록 선제적으로 유전자 조작을 가하여 암세포 표면의 면역관문리간드가 결합할 부위를 최대한 발생하지 않도록 함.
    - CAR-T세포의 탈진현상이 감소하여 체내 유지기간 증가.
    - CAR-T 치료제의 암세포 제거기능 향상.

     

    T세포는 암세포 등의 항원자극에 의해 활성화가 된 후 급격한 증식과 동시에 항원을 보유하고 있는 세포 (암세포 등)를 사멸시킵니다. 이러한 자극이 반복되면 T세포가 탈진 상태에 도달하게 됩니다. 탈진된 T세포는 항원자극이 가해지더라도 더이상 증식하지 않고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능력도 사라지게 됩니다. 즉, 인체의 T세포가암세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T세포에는 점차 면역기능 저하의매개체가 되는 면역관문수용체의 발현이 증가하게 되고, 이 면역관문수용체가 암세포의 특정부위(면역관문리간드)와 결합하게되면 더이상 암세포를 공격하지 않게 됩니다.

     

    CAR-T 치료제는 T세포에 유전자 조작을 가하여 CAR-T 세포로 변형한 것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T세포에서 발생되는 기능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킴리아, 예스카르타와 같은 일반 CAR-T 세포 역시 암세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CAR-T 세포에 면역관문수용체의 발현이 증가하게 되고, CAR-T 세포 표면의 면역관문수용체가 암세포의 특정부위(면역관문리간드)와 결합하게되면 CAR-T 치료제 역시 암세포를 공격대상으로 인지하지 않게 됩니다.

     

    반면 OVIS™ CAR-T 기술이 적용된 CRC01은 CAR-T 세포의 표면에서 면역관문수용체의 발현이 억제되어 면역관문수용체에 의한 CAR-T 세포의 활성화 억제 기작이 소실되고, 탈진현상 또한 억제됨으로써 더 많은 증식이 가능하고 결국 환자의 체내에 더 많은 CAR-T 세포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환자의 체내에서 더 많이 증식된 CAR-T 세포는 더 많은 양의 암세포들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OVIS™ 기술이 적용된 CRC01의 치료효과가 기존의 일반 CAR-T 치료제 보다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OVIS™ CAR-T 기술의 개념은 임상시험을 통해 증명되고 있습니다.

     

    OVIS CAR-T (큐로셀 대표 파이프라인)
    큐로셀 자체 기술 OVIS™ CAR-T

    1 OVIS™  CAR-T 치료제로 CAR 단백질은 생성되고 PD-1 및 TIGIT이라는 면역관문수용체는 생성이 억제되는 모습
    2 CAR 단백질이 암세포를 인식하였으나, PD-1 및 TIGIT이라는 면역관문수용체가 암세포의 특정 부위와 결합함에 따라 CAR-T세포의 면역기능 활성이 저하되는 모습(일반적인 CAR-T 치료제)
    3 CAR 단백질이 암세포를 인식하였고, PD-1 및 TIGIT 면역관문수용체의 생성이 억제되어 T세포가 암세포의 방해를 받지 않고 면역기능 활성이 올라가는모습(큐로셀 CAR-T 치료제)

     

    즉, 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 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처리함으로써 살상 효과를 높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강점은 임상시험결과에서도 드러납니다.

     

    임상 2상 시험에서는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였는데, 안전성 시험자수는 79명, 유효성 시험자 수는 73명이었습니다. 

     

    (1) 안전성

     

    임상 2상시험에 참여한 79명의 환자 중 치료유발이상반응(Treatment-emergent adverse event, TEAE)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습니다. 가장 흔한 TEAE는 호중구감소증(93.7%)이고, 그 밖에 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57.0%), 혈소판감소증(45.6%) 및 빈혈(29.1%) 입니다.  

    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Cytokine Release Syndrome, CRS)은 면역 치료 중 사이토카인의 과도한 분비로 인한 염증반응으로 평가 대상자 중 45명(57.0%)에게 나타났으며, 신경학적사건(Neurological Events, NE)은 치료와 관련된 신경학적 부작용으로 평가 대상자 중 11명(13.9%)에서 발생했습니다. 3등급 이상의 CRS는 7명(8.9%)에서 발생했으며 4등급 이상은 없었고, 3등급 이상의 NE는 3명(3.8%)에서 발생했으며 5등급 이상의 NE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큐로셀 임상시험결과
    CRC01 임상 2상 안전성 시험 결과

     

    (2) 유효성

     

    임상 2상 유효성 분석군 73명 환자 중 완전관해(Complete Remission, CR)를 보인 환자는 49명으로 완전관해율은 67.1%이며, 부분 관해(Partial Remission, PR)를 보인 환자는 6명으로 부분관해율은 8.2%입니다. 완전관해율와 부분관해율을 합친 전체 반응율(Overall Remission Rate, ORR)은 75.3%로 55명이 약물에 대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큐로셀 임상 결과
    CRC01 임상 2상 시험 유효성 결과

    (3) 해외 제품과의 유효성 & 안전성 결과 비교

     

    유효성의 척도라고 할 수 있는 완전관해율에서는 킴리아의 JULIET, 예스카르타의 ZUMA-1, 브레얀지의 TRANSCEND 임상에서의 관해율이 각각 40%, 54%, 53%에 그친데 반해, CRC01 임상 2상 시험에서의 완전관해율은 67.1%로, 다른 제품에 비해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체 반응율에 있어서도 킴리아, 예스카르타, 브레얀지가 각각 52%, 74%, 73%인데 반해, CRC01은 75.3%로 동등 이상이었습니다.

     

    안전성 관점에서는 먼저 CD19 CAR-T 치료제의 가장 잘 알려진 부작용인 CRS 및 ICANS를 비교하였습니다. 

    Grade 3이상의 중증 CRS의 경우, CRC01, 킴리아, 예스카르타, 브레얀지, CRC01에서의 발생율이 각각 9%, 17%, 11%, 2%로, 유사한 수준이었습니다. Grade 3 이상의중증 ICANS의 경우에는 CRC01, 킴리아, 예스카르타, 브레얀지에서의 발생율이 각각 4%, 11%, 31%, 20%로 나타나, CRC01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외 제품 및 큐로셀 임상결과 비교사진
    해외 제품과의 유효성 & 안전성 결과 비교

     

    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CRC01은 타 제품대비 유효성이 뛰어나고, 안전성 측면에서 CRS 부작용은 유사하고, ICANS 부작용은 더 적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나. 자체 생산시설 확보

     

    큐로셀은 임상용 의약품 생산시설 & 상업용 제품 생산시설을 모두 보유하고 있습니다.

     

    (1) 임상용 의약품 생산시설 

     

    2019년 4월 착공하여, 2020년 4월에 임상용 GMP 설비구축을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GMP 시설은 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관내 538㎡ 규모로 구축되었으며, 한 해 최대 100여명의 임상시험대상자에게 투여 가능한 CAR-T 치료제를 제조할 수 있는 시설입니다.

    구분 임상용 GMP 시설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81 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관 지하1층
        큐로셀 임상 GMP 제조소
    일정 -   2019. 4: 착공 
    -   2019. 4 ~ 2020. 3: 설계/공사/기기발주
    -   2020. 4: 준공
    -   2020. 4 ~ 2020. 10: 시설공사완료/장비적격성평가/공절밸리데이션 등 완료
    -   2020. 10: 식약처 실사
    -   2021. 2: CRC01 IND 승인 (GMP시설사용승인)
    -   2021. 3: CRC01 임상의약품 첫 환자의 CRC01 임상의약품 제조
    용도 -   임상의약품 제조소
    생산 capa. -   총 80~100 로트
    직원수 -   22명
    주요 생산품  -   자가혈액유래 CD19표적 CAR-T 세포
    활용계획 -   자사 신규개발품목의 임상시료 제조
    -   연구자주도 임상의약품 위탁제조
    -   CDMO 사업용 임상의약품 제조
    GMP 운영수준 -   국내(MFDS) 임상의약품 GMP 수준 시설
    인증내용 -   CRC01 IND 승인 (GMP시설사용승인): 2021. 02
    -   인체세포등관리업 승인: 2021. 02
    -   세포처리시설 승인: 2023. 06

     

    (2) 상업용 제품 생산시설

     

    큐로셀은 국내 최초의 CAR-T 치료제  상업용 제품 생산을 위하여 2021년 12월 착공하여, 2023년 4월에 상업용 GMP 설비구축을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GMP 시설은 국내 최초·최대의 CAR-T 생산을 위한 상업용 GMP 제조소로 2023년 4분기 GMP제조업 허가를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식약처) 및 선진시장(미국-FDA, 유럽-EMA)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GMP)규정을 준수하는 CAR-T 제조 및 품질관리 시설입니다.

    구분 상업용 GMP 생산시설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제과학16로 11
    일정 -   2021. 12: 착공 
    -   2022. 7 ~ 2023. 4: 설계/공사/기기발주
    -   2023. 4: 준공
    -   2023. 4 ~ 2024. 7: 시설공사완료/장비적격성평가/공절밸리데이션 등 완료
    -   2023. 9 ~ 2023. 12: 제조업허가 신청 및 승인 (시설허가)

    -   2024. 9: 품목허가 자료제출
    -   2025. 2: 식약처 실사 (예정)
    -   2025. 4: CRC01 품목허가 승인 (예정)
    용도 -   상업의약품 제조소
    생산
    capa.
    -   CAR-T 완제: 2층 400 lot, 3층 400 lot
    -   바이러스 벡터:  연간 10,000개
    주요생산품 -   자가혈액유래 CD19표적 CAR-T 세포
    -   바이러스 벡터
    활용계획 -   자사 신규개발품목의 임상의약품 제조
    -   연구자주도 임상의약품 위탁제조
    -   자사 상업의약품 제조
    -   CDMO 사업용 임상 및 상업의약품 제조
    GMP
    운영수준
    -   국내(MFDS), 선진 규제당국 (미국FDA, EU EMA 등) 의 GMP 수준 시설
    인증내용 -   제조업허가: 2023. 11

     

    이번 시간에는 큐로셀의 개요, 경쟁우위요소를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증권신고서를 통해 큐로셀의 제품 목표 시장과 세부 매출 추정 내역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Disclaimer

    * 개인적인 투자 아이디어 및 투자 전략을 공유하고 있으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추천이 아닌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관련 종목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매매할 수 있고, 간혹 보유 종목에 대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직접적인 판단 후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 본인은 언급된 종목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음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신고서, 사업보고서 등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내용이나, 내용 중 오류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니 꼼꼼히 관련 일체 자료를 접하신 후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